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13

전기설비의 이해 - 전기설비의 개념, 전기설비의 종류 정보 전기설비의 이해 - 전기설비의 개념, 전기설비의 종류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1. 전력계통 시스템이란? 수력, 화력, 원자력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송전 선로(T/L : Transmission Line)와 배전 설로(D/L : Distribution Line)을 통하여 수용가에 전기를 공급하고 운용하는 일련의 과정 ◆ 발전소의 발전기는 절연 문제로 20kV급 생산, 생산된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 승압 ◆ (소내 변전소) 154, 345, 756 kV의 초고압로 승압-> (송전 T/L) 철탑과 ACSR로 전송-> (배전변전소) 22.9 kV로 강압 -> (배전 D/L) B형 철근콘크리트 전주로 수용가에 공급 ◆ 전기공학과 에너지변환공학 • 전기를 발전(생산)하기 위하여 물의 위치에너지와 연료로 물을.. 2023. 11. 1.
전기공사 현장실무 - 준공관리 및 하자관리 정보 전기공사 현장실무 - 준공관리 및 하자관리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1. 준공관리 1-1. 준공검사 ◆ 준공검사 절차 • 시공업체-> 준공검사원 작성 • 감독 또는 감리자-> 제출서류 검토 • 발주처-> 검사원 임명 • 검사원(관계자입회)-> 검사 실시 • 검사원, 감리업체-> 준공조서, 준공보고서 • 발주처-> 승인, 준공금 지급 1-2. 준공검사 준비 ◆ 시공업체는 설계변경하고 정산설계도면 (준공도면)을 실제 시공된 상태로 작성하여 감리자에게 제출함 ◆ 정상적으로 운전을 하기 위하여 사전에 장비 및 설비의 정상 여부를 점검하는 절차인 시운전을 계획하고 실시함 ◆ 시공 관련 서류를 확인 ∙ 점검하고, 기타 준공에 필요한 사항을 준비함 1-3. 준공검사 ◆ 수급인은 공사감독자 입회 하에 다음을 확인하.. 2023. 11. 1.
전기공사 현장실무 - 시공관리,품질관리,자재관리,환경관리 정보 전기공사 현장실무 - 시공관리,품질관리,자재관리,환경관리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1. 시공관리 (품질관리, 자재 및 환경관리 ) 1-1. 품질관리 ◆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 • 수립 후 공사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착공하기 전에 발주자의 승인을 받아 실시하여야 함 •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을 작성하여 비치하여야 함 ◆ 현장시험실 • 관련 법규에 따른 검사요원, 시험실 규모, 시험 및 검사 장비를 설치함 • 현장 여건상 시험, 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 발주자의 지시에 따름 • 품질검사 전문기관에 시험, 검사를 대행할 수 있음 1-2. 자재관리 ◆ 가설용 및 특별히 지정된 것 이외의 것은 신제품을 사용함 ◆ KS 표시품을 사용함->없는 경우 발주자 또는 감리원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함 ◆ .. 2023. 11. 1.
전기공사 현장실무 - 시공관리,착공신고서,시공계획서,시공상세도 작성목록 전기공사 현장실무 - 시공관리,착공신고서,시공계획서,시공상세도 작성목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1. 시공관리(공사 관련 제출 서류) 1-1. 착공신고서 ◆ 계약 완료-> 공사현장 착공-> 공사계약조건에 의거한 착공신고서를 발주처와 감리단에 제출 ◆ 착공신고 서류 • 건설기술진흥법에 의한 현장기술자 지정신고서 • 공사 예정공정표 • 안전, 환경 및 품질 관리계획서 • 착공 전 현장사진 • 현장설명서, 수급인 서약서, 청렴이행각서 등 발주자가 지정한 사항 ◆ 착공신고서 작성 시 고려사항 • 계약 내용 파악 • 공사기간 • 선급금, 기성급, 준공금 등 공사비 지급조건과 방법 • 현장 기술자의 적격 여부 - 시공관리 책임자(전기공사업법 제17조, 동 시행령 제12조) - 안전관리자(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, 동 .. 2023. 11. 1.
전기공사 현장실무 - 전기공사기술자란? 전기공사 착공 전 준비사항 전기공사 현장실무 - 전기공사기술자란? 전기공사 착공 전 준비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1. 전기공사 기술자란? 1-1. 법적 근거 ◆ 제17조의2(전기공사 기술자의 인정) • 「국가기술자격법」에 따른 전기분야의 국가기술자격 소지자 • 전기분야 학력과 경력을 가진 사람 1-2. 역할 및 업무 ◆ 전기공사업법 제16조(전기공사의 시공관리) • 공사업자는 전기공사 기술자에게 시공관리를 맡겨야 함 • 공사업자는 전기공사의 규모별 구분에 따라 전기공사 기술자로 하여금 전기공사의 시공관리를 하게 하여야 함 ◆ 전기공사 기술자의 구분 • 특급 또는 고급 전기공사 기술자 - 모든 전기공사 시공관리 가능 • 중급 전기공사 기술자 - 사용전압이 100,000V 이하인 전기공사 • 초급 전기공사 기술자 - 사용전압이 1.. 2023. 11. 1.
전기공사 현장실무 - 전기공사란? 전기관련 법령, 전기공사 종류 정보 전기공사 현장실무 - 전기공사란?, 전기관련 법령, 전기공사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1. 전기공사란? 1-1. 법적 근거 ◆ 전기사업법(제2조 제16호에 따른 전기설비) ① 전기사업용 전기설비 : 한전의 발전, 송전, 배전 ② 일반용 전기설비 : 저압수전 수용가의 소규모 설비 ③ 자가용 전기설비 : 구내에 전기실을 보유한 설비 ◆ 전력을 이용하기 위한 전기계장설비 ◆ 전기에 의한 신호 표시 ◆ 「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, 이용, 보급 촉진법」 제2조 제3호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중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, 전력계통 연계 설비 ◆ 「지능형 전력망의 구축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」 제2조 제16호에 따른 지능형 전력망 중 전기설비 • 지능형 전력망이란?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여 실시간 정보교환 방법(스마.. 2023. 10. 31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