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전기공사 현장실무 - 시공관리,착공신고서,시공계획서,시공상세도 작성목록

by 토리스 2023. 11. 1.

전기공사 현장실무 - 시공관리,착공신고서,시공계획서,시공상세도 작성목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1. 시공관리(공사 관련 제출 서류)

1-1. 착공신고서

◆ 계약 완료-> 공사현장 착공-> 공사계약조건에 의거한 착공신고서를 발주처와 감리단에 제출
착공신고 서류
      건설기술진흥법에 의한 현장기술자 지정신고서 
      공사 예정공정표
      안전, 환경 및 품질 관리계획서 
      착공 전 현장사진
      현장설명서, 수급인 서약서, 청렴이행각서 등 발주자가 지정한 사항
착공신고서 작성 시 고려사항
      계약 내용 파악
      공사기간
      선급금, 기성급, 준공금 등 공사비 지급조건과 방법
      현장 기술자의 적격 여부
        - 시공관리 책임자(전기공사업법 제17조, 동 시행령 제12조) 
        - 안전관리자(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, 동 시행령 제12조) 
        - 품질관리자(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5조의 4)
        - PQ 대상공사의 경우 PQ 평가기준 동등 이상인 자

1-2. 공사 예정공정표

공사 착공에 앞서 공정표 작성->감리원의 승인

서식
      공사의 안전관리, 품질관리 등 중요 공사 활동에 대하여는 막대도표로 일정 표시

       -> 매주 첫 작업일에 확인

      공기산정은 PERT 기법을, 연관관계를 통한 공정선(Critical Path)은 CPM 방식인

       PERT/CPM(Program Evaluation & Review Technique / Critical Path Method) 등에 의한

       공정계획서 제출

      공정계획서 작성에 이용하는 소프트웨어는 공공기관에서 요구하는 기준 조건을 만족해야 함

내용

      공사 예정공정표 첨부사항

       - 주요 공정 단계별 착수 시점 및 완료 시점
       - 주요 공정 단계별 공사 선, 후, 동시 시행 연관관계 
       - 공정선(Critical Path Method) 또는주 공정 공사의 목록
       - 시공계획서, 시공상세도 및 견본 등 주요 제출물의 제출 일정계획

일정 수정

     • 공사시행 중 당초에 수립한 공사 예정공정표와 공사 추진실적을 비교하여 지연된 공정이 있을 

       경우에는 공정 만회대책을 수립함

     • 수립된 공정 만회대책을 공사감독자에게 제출하고, 승인을 받은 후 시행함 

     • 공정계획을 변경할 때에도 수정공정표를 제출하여야 함

     • 공정예정표의 복사본을 공사현장 사무소, 하수급인, 납품자 및 기타 관계자에게 배부하여야 함

작성 시 검토사항

     • 공종 보할을 산출하여 적용함. 예) 매입 분전반의 경우 매입함만 설치 시 기성분을 얼마로 할

       것인가 등을 사전에 보할 산출하는 것이 필요함

     • 공종 별 공정 집계표를 작성함

     • 배관, 배선공사의 기준층은 층별로, 품목은 규격 별로 금액을 산출함

     • 건축공정표상 공종을 세부공사별 착수 시점에서 종료 시점까지 반영함

     • 첨부사항의 시공도 작성계획표

          1. 접지설비 시공도
          2. 각층 평면도(기준층)
          3. EPS(Electric Pipe Shaft) 상세도
          4. 전기실 상세도
          5. 조명 제어설비 시공도
          6. (단위세대) UNIT 상세도
          7. CABLE TRAY 및 BUS DUCT 시공상세도
          8. 외등(가로등)설비 시공도

1-3. 시공계획서

◆착공에 앞서 공사의 종합계획 정리 · 작성->감리원에 제출->공정별 기기 · 자재 및 공법 등을 구체적으로 작성->발주자 또는 공사감독자의 승인

     • 공사명, 계약금액, 공사기간, 발주자, 시공자, 공사내용 등의 공사개요
     • 공사공정예정표
     • 현장조직표
     • 주요장비 동원계획
     • 주요장비 반입계획
     • 인력동원계획
     • 긴급 시의 체계
     • 품질관리계획
     • 안전관리계획
     • 환경관리계획
     • 교통관리계획
     • 가설구조물, 현장사무소 등 가설계획

1-4.  자재공급원 승인 요청서

승인요청

     • 공사용 자재의 사용 또는 설치 전에 설계서의 요구 조건 및 품질기준과의 적합성을 확인함

     • 자재 공급 승인 요청 서류를 제출하여 공사감독자의 승인을 받은 후 사용 및 설치함

대상자재

     • 표준시방서, 공사시방서 각 해당 시방 기준에 따름 

     • 명시되지 않은 자재는 공사감독자의 지시에 따름

  작성 방법

     • 발주자의 품질 문서에 따라 자재 공급원 일람표, 제품 자료, 견본 등을 포함함

     • 현장 여건이 제품 설치에 적합하지 않을 경우 필요한 설계도서 및 현장 여건 조정 요구 사항을 제출함 제출 시기 및 부수

      자재의 사용 또는 설치의 15일 전까지 2부를 제출함

1-5.  시공사진

시공사진

     • 현장과 시공에 대한 사진을 공사감독자가 수락하는 상태로 촬영하여 제출함

       되메우기, 마감재 사용 등 육안검사가 불가능한 부분

       준공 후 해체되는 가설물 등에 대하여 수시로 부분 또는 전경이 분명히 나타나도록 천연색으로 

       촬영함

사진촬영이 필요한 공정

       현장 정리 

       땅 파기 및 땅 깎기

       기초공사

      구조물의 구체 

       최종 준공

       공사계약문서에 명시된 사항으로 시공 후의 검사가 곤란한 부분

1-6.  시공상세도(Shop Drawing) 

목적

     • 현장에서 원활한 공정관리 수행과 균일한 품질을 확보함

       타 공종 간섭 및 하자 발생 요인을 사전 파악하여 시공 착오를 방지함

       단위세대 UNIT, 기준층 등의 반복되는 공사 표준적 시공방법을 제공함

       설계도서 및 시방서 등에 불명확한 부분 및 반복되는 공사를 현장에서 구체적으로 

       시공에 일관성 있게 작성하는 상세도면 확보

검토 시 고려사항

       설계도면, 설계설명서 또는 관계규정에 일치하는가?

      현장의 시공기술자가 명확하게 이해할 수 있는가? 

      실제 시공이 가능하며 안전성을 확보할 수 있는가? 

      계산의 정확성 및 제도의 품질과 도면 작성 표준에 일치하는가?

       도면으로 표시 곤란한 내용은 시공 시 유의사항으로 작성하였는가?

제출이 필요한 서류

     • 시설물의 연결, 이음 부분의 시공상세도 

       매몰시설물의 처리도

       주요 기기 설치도 등

 

이상으로 전기공사 현장실무 -시공관리,착공신고서,시공계획서,시공상세도 작성목록에

대해 알아보았습니다.